|
|
|
|
 |
경복궁타령 |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곡명 |
경복궁타령 |
景福宮打鈴 |
분류명 |
미분류 |
미분류 |
작사 |
- |
- |
작곡 |
- |
- |
출처정보 |
성경린․장사훈 조선의 민요 (서울:국제음악문화사) |
成慶麟․張師勛 朝鮮의 民謠 (서울:國際音樂文化社) |
연도 |
1949 |
檀紀四二八二年二月十日 |
면수 |
71 |
(71) |
|
|
 |
|
|
景福宮打鈴
을축(乙丑) 사월(四月) 갑자일(甲子日)에
경복궁(景福宮)을 이룩했네
(후렴) 에 에헤야 에헤야
얼널널거리고
방애흥에로다에-
을축(乙丑) 사월(四月) 초삼일(初三日)에
경복궁(景福宮) 새 대궐(大闕) 짓는데
헛 방아 찧는 소리다
조선(朝鮮) 여덟도 좋다는 나무는
경복궁(景福宮) 짓느라고 다 들어 간다
석수(石手)쟁이 거동(擧動)을 보소
방망치를 갈라 잡고
눈만 끔벅거린다
도편수란 놈의 거동(擧動)을 보소
먹통을 들고 갈팡질팡 한다
남문(南門) 열고 바라둥당 치니
계명천산(鷄鳴山川)에 달이 살작 밝았네
남문(南門) 밖에 떡 장사들아
한 개를 베여도
큼직 큼직히 베여라
南門 밖의 막걸이 장사야
한 잔(盞)을 걸러도
큰애기 솜씨로 걸러라
창포 밭에 금(金)잉어 논다
금실금실 참 잘 논다
화란춘성(花爛春城) 봄 바람에
너훌너훌 나비 논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