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최벽도(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최벽도(경화권번) |
최벽도崔碧桃(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3 |
3 |
|
|
|
 |
|
|
최벽도崔碧桃(二十才)
原籍 京城府 玉仁洞
現住 京城府 三角町 二八
技藝 歌曲, 詩調, 楊琴, 西道雜歌
墻頭花崔碧桃, 花似人人似花, 三分勤三分發, 墻頭花崔碧桃, 花似人人似花, 三分勒三分發, 一枝垂一枝斜, 綠鬟膏玉洞雨, 紅頰凝武陵露, 疑嗔兮疑笑兮, 是恨耶是情耶, 只恐他無端折, 春風面莫謾誇
삼쳔년에결니, 요지션과벽도, 동방삭이먹고셔, 인간에다씨를더져, 텬부금탕한양셩에, 최가집에장니, 얼골이동골납작, 눈과갓치희고희며, 톄가졀묘야, 거름거리아장아장, 오이십스무살에, 공부도구비다, 한가가곡소, 션녀가하강듯, 죠격잇시죠소, 맑은바람이러나고, 유쾌잡가소, 여흥이도々며, 염불타령량금소, 츔장단이々맛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