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박경란(경화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박경란(경화권번) |
박경란朴瓊蘭(京和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1 |
1 |
|
|
|
|
|
|
박경란朴瓊蘭(二十才)
原籍 慶尙北道 大邱府
現住 京城府 水下町 六〇
技藝 歌曲, 楊琴, 劒舞, 男舞, 京城謠曲, 西道行歌, (特)口辯
鸚鵡舌朴瓊蘭, 這前頭誰敢言, 義不忍主家亡, 情庶慰主婦寃, 萬貫金何足說, 三喪服殆可論, 歌難盡曲中恨, 絃己斷琴上魂, 只許爾鳳凰舞, 厭聽他鳥雀喧, 歸依母養無路, 莫可奈復開門
경궁요옥셤돌에, 경국지향경란이, 물죠흔구감영, 놀기죳타것만은, 산명슈려죠흘시고, 한양산쳔갓흘손냐, 삼오십오이쳥츈, 하향에셔허송말자, 동무라상경야, 경화권반기일셰, 양금가곡금남무며, 셔울소리평양잡가, 차례々々온후에, 노름밧기시작이라, 쥬인은혜이질쇼냐, 유치슌이별셰후에, 달은마음두지안코, 게속영업년에, 불상그가죡을, 진심으로구휼야, 약풀연가지, 착근식여붓도드니, 그의리그심덕을, 누가안이칭도리, 년죠가연놉하, 쳬임명되얏도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