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원채옥(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원채옥(대정권번) |
원옥元彩玉(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72 |
72 |
|
|
|
 |
|
|
원옥元彩玉(十五才)
原籍 慶尙南道 迎日郡
現住 京城府 授恩洞 二七
技藝 西,南雜歌, 伽倻琴, 酸調, 幷唱, 俱善
生長迎日, 時年十五, 雲梯山高 爾可以梯, 通洋逋深, 爾可以舟, 莫可梯者, 爾的命途, 莫可舟者, 爾的情恨, 寡母孤兒, 漂泊千里, 托身無處, 暫此入券, 技能嶺湖, 俚曲, 正是碧綠紅黃皆假彩, 誰知一質是元玉
여명, 권반기, 모다볼진 안이면, 옥과갓흔, 미인들이나 중에도, 향긔잇고, 향긔업스며 옥즁에도, 광잇고, 광업니 졍기, 원옥을, 자네보앗나 펀신향긔, 만면광, 긔이도다 십륙셰에, 기나와, 온죠 셔남잡가, 병창산조, 멋이질니어 오듯고, 일들어, 날노드러도 지리맘, 반졈업고, 흥만나더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