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고영월(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고영월(대정권번) |
고영월高映月(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69 |
69 |
|
|
|
 |
|
|
고영월高映月(十六才)
原籍 平安南道 平壤府
現住 京城府 武橋町 七
技藝 詩調, 西道雜歌, 呈才六種舞, 西洋舞蹈
生長平壤, 時年十六, 月如其容 方圓得宜, 柳如其身, 長短適中 截鐵之性, 宜爾兒女, 碎玉之聲 端合美人, 十三就坊, 十五就券 技能, 調, 謠六闋之舞, 西洋舞蹈 正是, 梧己勝巢鳳不來, 高々秋月暎踈枝
부유갓흔, 우리인, 안이놀소냐 쳥춘홍안, 늙어지고, 병이들면은 놀고십허, 를써도, 쇼용업스리 이나히, 십삼셰에, 기나와셔 각항가무, 공부야, 졸업후에 셩경으로, 올나와셔, 놀음단기니 간곳마다, 귀염이요, 사랑밧노나 욱살님, 려염녀, 불상도다 평근고, 모양, 가련지만 옥무하, 그신분은, 우리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