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강명화(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강명화(대정권번) |
강명화康明花(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34 |
34 |
|
|
|
 |
|
|
강명화康明花(十八才)
原籍 平安南道 平壤府
現住 京城府 堅志洞 九九
技藝 詩調, 西道雜歌
生長平壤, 時年十八, 玉容橢圓 月顚方正, 蟬鬢鴉黛, 端合洋飾 柳腰蓮肢, 笑殺越艷, 情山愛河 交際洽々, 恨烟嚬月, 別離澁々 十一就坊, 十七入券, 技能詩調 俗謠, 正是, 睡起殘粧何所似, 一簾少雨杏花明
독슈화발, 자분명에, 명화겨셔 고흔빗을, 자랑니, 방년십구라 름고, 흰바탕은, 을우스며 다부룩, 이마살젹, 구름갓셔 양졔머리, 고나면, 격이맛노나 텬려질, 버릴소냐, 팔으로 십일셰가, 겨우되여, 기나와셔, 압히며, 달마에, 쳥가일곡은, 풍류자몃々치나, 혼을살온고, 놀기죠흔, 평양부를, 작별고셔, 십칠셰에, 상경야, 오날진, 교졔방법, 능란고, 셩질유슌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