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변옥도(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변옥도(대정권번) |
변옥도邊玉桃(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25 |
25 |
|
|
|
 |
|
|
변옥도邊玉桃(十九才)
原籍 平安南道 平壤府
現住 京城府 三角町 一一二
技藝 詩調, 西道雜歌
生長平壤, 時年十九, 遠面月華, 近面玉淸, 情眼山深, 笑眼水淺, 臉凝紅愁, 眉壓碧恨, 身稱佳人, 性亦宜順, 就券一年, 旣歷數任, 技無他長曲謠最絶, 正是, 相逢不用問名姓只見籬邊種玉桃
물죠흔, 평양부에, 네가겨셔 십일셰에, 기안착명, 소리왓고 십팔셰에, 샹경야, 정권반에 풍뉴자, 만히모혀, 놀기좃토다 화죠월셕, 언의에, 놀음업스며 문안문밧, 언의곳에, 놀곳안이랴 오늘놀음, 일노름, 밀이밧아서 잠시반, 겨를업시, 오밧부다 옥동도화, 만슈츈은, 네본이오 도화담슈 심쳔쳑은, 너의졍이라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