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강춘홍(대정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강춘홍(대정권번) |
강츈홍康春紅(大正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4 |
4 |
|
|
|
|
|
|
강츈홍康春紅(二十才)
原籍 平安南道 平壤府
現住 京城府 樂園洞 二八八
技藝 詩調, 西道雜歌, 楊琴, 玄琴, 呈才二十二種舞, 西洋舞蹈
生長平壤, 時年二十, 玉容團團 柳身纖纖 恨烟嚬月, 哀猿酸鴻 俯仰今昔, 孤身隻影, 十四就券 椅踞總務, 技能詩調, 西謠, 玄琴 楊琴, 二十二闋呈才舞, 西洋舞蹈 正是嬌嬌脉脉一技花, 滿城春雨壓殘紅
아참나, 져녁지, 길을가자면 산도잇고, 물도잇고, 평지잇도다 산과물을, 맛날졔, 고무진코 탄탄로, 평디되면, 평무라 인일셰, 고락활, 그와갓셔 이몸이, 십여셰에, 고초격글 늘근죠모, 병든부친, 졉졔무로라 눈이캄캄, 압길아득, 두셔업더니 결심야, 가무공부, 오년만에 시죠잡가, 양금현금, 졍츔이며 풍금맛쳐, 셔양무도, 갑죵예기라 미목쳥슈, 화용월, 밉지안아셔 기영업, 하로잇흘, 번챵지니 칠십죠모 침슈범졀, 근심업도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