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금도(한성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이금도(한성권번) |
리금도李錦濤(漢城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53 |
53 |
|
|
|
 |
|
|
리금도李錦濤(二十二才)
原籍 慶尙南道 統營郡
現住 京城府 茶屋町 四三
技藝 西南俚謠, 國語
蓮花島(在統營)上月潾々은錦濤之容光이오桃花潭水深千尺은錦濤之情恨이로다只看他艶名浪藉處라歌得西南曲니愁緖擾亂織錦圖오語譯東京話니硯波濃淡薛濤箋이로다
얼골이번화야, 셜부운빈격이맛고, 셩질침묵키가커셔, 쾌활긔상잇셔뵌다, 통영군셔장으로, 부모동긔구존다, 십오셰에기나와, 칠년동안영업타가, 금년삼월상경야, 한셩권반들어오니, 기예셔남소리, 각가무방장공부, 쳡々리구혀를굴녀, 일본말이일등이라, 다옥졍사삼번지리금도의셩명삼, 동풍삼월한송이 범납의를인도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