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장소도(한성권번) |
|
구분 |
구분 |
표준화 정보 |
원문정보 |
|
이 름 |
장소도(한성권번) |
장소도張笑桃(漢城券番) |
출처정보 |
조선미인보감(경성:신구서림) |
朝鮮美人寶鑑(京城:新舊書林) |
필 자 |
조선연구회 |
朝鮮硏究會 |
연 도 |
1918 |
大正七年 |
연 수 |
38 |
38 |
|
|
|
 |
|
|
장소도張笑桃(十八歲)
原籍 京城府 禮智洞 一四九
現住 京城府 西大門町 二丁目 六○
技藝 歌, 羽界面, 歌詞, 楊琴
百方無計度遲日이라翻抛粧鏡出長廊야手折桃花最滿枝로다花笑人亦笑니不知伊誰笑러니纔到畵堂야挿上了綠玉瓶고張絃一彈春眼曲니始知俄笑々桃笑로다
후원깁흔곳에, 삼월동풍도라오니, 신이화죠커니와, 어엽불사도화로다, 도화야이울지말고, 시장츈우셔잇셔, 승흥야노손이, 도라가기잇게소, 그의웃모양, 기에게비보면, 번화얼골바탕, 눈도죠코코도죠코, 원산아미검은살젹, 두지족졀묘즁, 쳥아음셩으로, 가곡가사구비고, 셤셤옥슈납의놀듯, 동지당양금치, 셔문졍장소도가, 그아니졀묘가
|
|
|
|
|